추적 사건25시

부동층, 안철수와 홍준표 사이에서 고민 중

페이지 정보

작성자편집국 작성일 17-04-24 11:29

본문

부동층, 안철수와  홍준표 사이에서 고민 중

"지지후보 없다"21.3 "바꿀수 있다"34%,

19대 대선이 보름 앞으로 다가왔지만 아직도 어떤 후보를 뽑을지 선택하지 못했거나, 선택했어도 지지를 바꿀 의향이 있는 유권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부동층 표심이 어느 쪽으로 향하느냐에 따라 선거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이 중 상당수가 투표장으로 가지 않으면서 투표율이 낮아질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다. 21~22일 조선일보와 칸타퍼블릭이 조사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5당 대선 후보 지지도 조사에서 '지지 후보가 없다' '모르겠다'는 응답은 21.3%였다. 2주일 전 14.5%, 1주일 전 20.6%보다 더 높아졌다.

이 같은 부동층은 60대 이상이 26.5%20(24.1%), 30(21.3%)보다 높다. 대구·경북에서도 부동층은 25.6%. 강원·제주(34.3%)에 이어 둘째로 높았다. 투표를 2주 남긴 시점에서 60대 이상에서 부동층 비율이 가장 높은 것은 역대 대선 여론조사에선 없었던 현상이다. 윤희웅 오피니언라이브 여론분석센터장은 "역대 선거에서는 이 시점에 부동층 비율이 10% 초반대 내외로 나타났다""아마도 이번 대선이 처음으로 진보·보수 이념 및 지역 대결 구도로 치러지지 않으면서 보수층과 영남권이 지지 후보를 아직도 고민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했다.

qksv.jpg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적극 투표 의향도 60대 이상과 대구·경북에서 가장 낮았다. 이 역시 역대 선거와 비교하면 기현상이다.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응답자는 전체 86.3%였는데, 60대 이상은 84.9%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낮았다. 2012년 대선을 보름가량 앞둔 125일 조선일보와 미디어리서치 조사에서 60대 이상의 92.5%"반드시 투표하겠다"고 답했었다. 당시 20~30대의 적극 투표층은 71~74%였다. 그랬던 60대 이상이 이번 대선에서는 아직도 누굴 뽑을지 결정하지 못한 것이다.

지역별로도 대구·경북에서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응답이 77%로 가장 낮았고, 광주·전라는 93.2%로 가장 높았다. 지난 21일 한국갤럽 조사에서도 "꼭 투표하겠다"90% 응답 중 대구·경북은 88%로 가장 낮았다. '현재 지지하는 후보를 바꿀 수도 있느냐'는 물음에는 '바꿀 수 있다'34%, '지금 후보를 계속 지지하겠다'61.5%로 나타났다. 1주일 전 조사에서 '바꿀 수 있다'30.8%, '계속 지지하겠다'63.3%였던 것과 비교하면 유동성이 더 커진 것이다.

지지 변경 의사는 20대가 49.5%로 가장 높았고, 60대가 23.8%로 가장 낮았다. 문재인 민주당 후보를 지지하는 응답자들은 81.5%가 계속 지지하겠다고 했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 지지자의 72.8%,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지지자의 69.5%가 계속 지지 입장을 보였다. 반면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 지지자의 55.2%, 심상정 정의당 후보 지지자 52.9%는 지지를 변경할 생각이 있다고 답했다.

'지지 후보가 없다'거나 '모르겠다'고 답한 부동층(211)을 대상으로 '그래도 출마 후보 중 누가 대통령감으로 조금이라도 더 낫다고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그 결과 17.3%가 안철수 후보, 13.7%가 문재인 후보라고 답했다. 홍준표 후보는 4.3%, 심상정 후보 3.9%, 유승민 후보 2.1%였다. 여기서도 '없다' '모르겠다'는 응답은 58.6%였다. 한 전문가는 "부동층 상당수가 안철수 후보와 홍준표 후보 사이에서 지지를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문재인 37.5%, 안철수 26.4%

, 조선일보가 칸타퍼블릭(옛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21~2219대 대선 출마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 37.5%,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26.4%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7~8일 조선일보·칸타퍼블릭의 5자 대결 조사에선 안 후보(37.5%)와 문 후보 (35.7%)가 비슷했고, 414~15일 조사는 문 후보(36.3%)와 안 후보(31.0%) 차이가 5.3%포인트였다. 이번 조사에서는 문 후보가 1.2%포인트 상승하고 안 후보가 4.6%포인트 하락하면서 지지율 차이가 11.1%포인트로 오차 범위(±3.1%포인트)를 벗어났다.

qjays.jpg  

다음은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 7.6%, 심상정 정의당 후보 3.3%,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 2.9%, 기타 후보 1.0% 등이었다. 일주일 전 조사에 비해 홍 후보는 0.4%포인트, 심 후보는 0.6%포인트, 유 후보는 0.8%포인트 상승했다. 지지 후보가 '없다' 또는 '모름·무응답' 등으로 답한 부동층은 21.3%로 일주일 전 조사의 20.6%에 비해 다소 늘어났다. 대선에서 문 후보와 안 후보가 맞대결을 펼치는 경우를 가상한 양자(兩者) 대결 지지율은 문 후보 41.4%, 안 후보 41.0%였다. 유선전화 및 휴대전화 RDD(임의 번호 걸기)를 활용해 전화 면접으로 전국 19세 이상 10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조사의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포인트, 응답률은 16.0%. 고민의 시간은 이제 2주밖에 남지 않았다.

조혜리 기자

주요사건

주요사건
  • 21대 대선 출마했던 미라클시티월드그룹 총재 ‘송진호’ 사…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20일 서울지방법원에 따르면 지난 21대 대선 때 '전과 17범 대선 후보'로 기호 8번으로 출마해 세인의 관심사였던 미라클시티월드그룹 송진호 총재를 사기 등 혐의로…

  • 바닷가 상인들, 불친절 서비스 자정 결의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8일 속초에서 바닷가 상인들이 자정 결의대회를 열고 불친절 서비스에 대해 반성하고 새로운 결의를 다졌다.이는 지난 6월 26일 한 유튜브 영상이 점화점이 되어 여론이…

  • 내란특검, 윤 소환 불응에 강제구인 수사 방침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지난 10일 서울구치소에 수감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내란 특검의 소환에 계속 불응하자 이에대해 ‘강제구인’을 시사했다.윤 전 대통령은 구속수감 이후 11일 내란 혐의…

  • 조국혁신당, 李 정부 검찰 인사에 비난의 화살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조국혁신당이 지난 2019년 3월경 긴급출국금지를 받아 2021년 재판에 넘겨진 ‘김학의 전 차관’ 출국 위법 조치 혐의 관련해 자격모용공문서작성 등 혐의로 대법원에…

헤드라인

Total 3,189건 1 페이지

주요사건

주요사건
  • 수도권 부동산 외국인 취득, 2년간 실거주 등 사전 허가 …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그간 외국인 특히 중국인들이 한국에 들어와서 토지, 건물 등 부동산을 취득해 국민 여론이 곱지않았는데 정부가 1차로 외국인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지정, 오는 26일부터는…

  • 전한길, 국힘 전대 출입금지에 “언론 탄압” 반발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8일 국민의힘 8·22 전당대회 대구·경북 첫 합동연설회에서 김근식 경선 후보가 정견 발표 시간 중 ‘계엄 옹호’ 관련해 언론인으로 비표를 받아 참석했던 전…

  • 국세청, 고액취득 유튜버 집중 과세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태호 의원에 따르면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지방국세청이 고액 취득 유튜버 67명을 조사해 해당 사업자가 모든 사업의 …

  • 與 내란진상조사단, '내란 10대 의혹' 특검에 촉구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더불어민주당 내란진상조사단(단장 추미애 간사 박성원)은 그간 ‘내란’에 대한 각종 의혹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내란 10대 의혹'을 제기하며 조은석 내란특검에 철저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