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적 사건25시

선체 파손 흔적 없는 세월호

페이지 정보

작성자강남구 작성일 17-03-27 19:05

본문

선체 파손 흔적 없는 세월호

     설득력 잃은 외부 충돌설

26일 오전 11시경 어업지도선을 타고 접근한 세월호 주변은 유출된 기름을 막기 위한 방제 작업이 한창이었다. 세월호 선체가 햇빛 아래 전체 모습을 드러내면서 그간 사고 원인을 놓고 제기됐던 여러 가설들도 검증받게 됐다. 우선 세월호 선체 외형을 볼 때 아직 좌현 일부가 바닥에 깔려 보이지 않는 다고 하지만 드러난 외관으로 볼 때 충돌 흔적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설령 좌현에 강한 충격이 있었다고 해도 외부로 드러난 선체에 충격의 흔적이 있어야 잠수함 충돌설이 설득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애초 해저면 30~40m라는 사고 현장 자체가 잠수함이 선박 아래로 잠수하기에는 너무 얕은 바다라고 분석한 바 있다.센서가 없는 선박 아래에서 잠수함이 충돌한 것 아니냐는 가설은 선박 아래가 깨끗하게 드러나면서 설득력을 잃었다. 박승균 전 서울대 해양시스템공학연구소 교수는 "이미 과거 조사에서도 밝혀졌듯이 잠수함 또는 암초 충격설은 사실상 거짓으로 드러났다"며 다만" 외부 충격설 자체의 근거가 전혀 없어지는 것은 아니고 세월호 선박의 복원성이 워낙 미약했기 때문에 조그마한 충격이나 또는 그 충격을 급하게 피하기 위해 방향타를 돌리는 과정에서 배가 뒤집혀졌을 가능성은 남아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agqf.jpg 

세월호는 현재 기존 세얼호 무게에 화물 무게와 퇴적물 무게, 그리고 해수 무게가 합쳐져 1t을 조금 넘을 것으로 분석된다.해수 배출 작업 완료 후 무게를 보면 화물 과다 선적에 대한 검증 작업도 실마리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공식적으로 화물을 더 많이 싣기 위한 무리한 개조 작업과 화물 과적 , 조타 미숙, 화물 고박 미숙 등을 사고 원인으로 분석한 바 있다. 선체 조사는 세월호가 목포 신항에 거치되고 나면 본격적으로 이뤄지게 된다.해수부는 세월호가 반잠수선 위에 안착돼 인양이 안정권에 들어간 만큼 서두르지 않고 자연배수를 통해 물을 빼고, 기름 방제 작업을 마친 후 이동을 개시 한다는 방침이다.

자연배수는 선체 내의 바닷물이 창문 등을 통해 나오는 걸 기다리는 작업으로 해수부는 26일 저녁까지 배수가 진행되는 속도를 보고 이후 일정을 조율할 예정이다. 이르면 2~3, 길면 3~5일이 걸릴 자연배수 및 고박 작업이 끝나고 나면 이동이 개시된다. 세월호를 받치고 있는 네덜란드 도크와이즈의 화이트 마린호는 72146t까지 실을 수 있어 1t 중량의 세월호는 거뜬히 자체 동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고박이 완료되면 목포 신항(87km)까지는 시속 10km 정도로 8~10시간 만에 이동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이르면 28일께 목포 신항으로 출발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강남구 기자


주요사건

주요사건
  • 광주은행, 완벽한 내부시스템에도 횡령사건 발생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돈을 만지는 곳에서는 돈의 횡령사건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하는데 근간에도 지방은행에서 횡령사건이 지역뉴스 거리가 되고 있다.광주은행에 따르면 지난 2023년 지역개발 관…

  • 내란 특검, 황 전 총리 전격 체포·영장 청구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12일 내란특검에 따르면 내란 선동 혐의로 황교안 전 국무총리를 자택에서 체포 연행했다.황 전 총리는 지난해 계엄 당시 온라인상에 우원식 국회의장과 한동훈 전 국민의…

  •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건물 철거 중 붕괴, 9명 매몰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6일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울산 남구 용잠로에 소재한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에 서 오후 2시경 발전소 내 기력 5호기 보일러 건물이 철거 작업 중 붕괴됐다.이…

  • 해충잡는 스프레이, 화기 불 옆에서 사용하면 화재 위험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24일 경기 오산경찰서에 따르면 관내 궐동 모 상가주택에 거주하는 A 씨(20대· 여)를 지난 20일 구속해 중실화 및 중과실치사상 혐의로 수원지검에 송치했다.이 …

주요사건

Total 2,295건 70 페이지

주요사건

주요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