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적 사건25시

중국 관광객 늘어나도 관광업계는 울상

페이지 정보

작성자류재복 작성일 15-04-14 09:36

본문


20150413090334_7741.jpg 

지난해 우리나라를 찾은 중국 관광객 수가 600만명을 넘어서며 사상 최고치에 달했지만 국내 관광업계는 늘어난 중국 관광객으로 인한 이익보다는 경쟁심화로 인한 출혈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중국인 관광상품을 취급하는 국내여행업체 300사를 대상으로 ‘중국인 관광객의 유치실태와 개선과제’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43.4%가 '지난 1년간 원가 이하로 중국 관광객을 유치한 적이 있다', 43.6%가 '거의 없었다'고 답했다. '전혀 없다'는 기업은 13.1%에 불과했다.

손실을 보충하는 방법으로는 '쇼핑·옵션 확대'가 54.8%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다른 여행상품에 비용 전가’(27.0%), ‘미래투자로 손해감수’(11.9%), ‘품질수준 하향조정’(6.3%) 등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 관광객 증가 속도와 국내 업체간의 경쟁심화 정도를 비교했을 때 응답기업의 57.6%는 '유커 증가보다 국내 경쟁 심화가 더 크다'고 답했으며 '거의 같다'는 응답도 41.2%나 차지했다.

이같은 경쟁 심화의 원인으로 기업들은 시장 내 공격적 마케팅(54.2%), 신규 진입업체 급증(32.6%), 개별여행 증가에 따른 일감축소(15.6%) 등을 꼽았다. 경쟁심화로 인한 수익성도 좋지 않았다. 중국 관광객 유치에 따른 수익성에 대해 과반수의 기업이 ‘낮다’(51.5%)고 답했으며 '보통'도 40.8%를 차지했다. 대한상의는 "중국 관광객 방문 1천만 시대 도래가 예상되고 있지만 관광업계는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중국 관광객의 재방문율이 낮은 것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2월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외래관광객 실태조사’에 따르면 중국 관광객의 만족도가 조사대상 16개국 가운데 14위로 최하위 수준을 차지했고, 재방문율은 25.7%에 그쳤다. 지리적 거리가 먼 미국 관광객(32.6%)의 만족도보다 낮으며 일본인 관광객(69.1%)에는 절반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이번 조사에서도 중국인의 한국관광에 대한 이미지를 묻자 ‘나빠지고 있거나 그저 그렇다’는 기업이 81.6%로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중국 관광객 증가 추세에 대해서도 '지속가능하지 않다'(56.3%)는 기업이 ‘지속될 수 있다’(43.7%)는 기업보다 많았다. 중국 관광객이 갖는 불만사항으로는 ‘관광자원 부족’(41.6%)을 첫손에 꼽았고 다음으로 ‘단조로운 일정과 자율성 부족’(22.1%), ‘중국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20.0%), ‘유행을 쫓는 상품 난립 및 급격한 가격인상’(11.4%)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 관광 인프라 부족도 문제로 지적됐다. 응답기업의 45.3%는 '관광 인프라 부족으로 서비스 저하가 우려된다'고 답했으며 45.3%는 '중국 관광객을 겨우 수용 가능한 수준'이라고 봤다. '국내 관광 인프라가 충분하다'는 의견은 9.4%에 그쳤다.

가장 부족한 인프라로는 볼거리(29%)를 꼽았다. 다음으로 한류체험·즐길 거리(19.2%), 숙박시설(15.9%), 관광가이드 등 인력(13.5%), 먹거리(6.1%), 불친절·교통혼잡(6.1%) 순으로 나타났다. 향후 중국 관광객 유치를 위해 강화돼야 할 관광상품으로는 '소비, 레저와 건강관리가 결합된 복합관광’(46.9%)을 가장 많이 꼽았고, ‘개별 맞춤형 자유여행’(25.3%), ‘산업관광, MICE., 인센티브 관광을 비롯한 기업연계 관광’(17.6%)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유커 유치를 위한 정책과제로는 관광자원 개발(39.6%), 지방관광 활성화(18.8%), 여행편의시설 확충(15.5%), 관광산업 지원 확대·규제 완화(9.0%) 등을 차례로 들었다. 대한상의는 "중국 관광객 1천만 시대를 열기에는 쇼핑 위주나 서울·제주에 편중된 관광 프로그램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한류 특화형 상품, 휴양림·문화자원을 활용한 지역관광 상품 등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주요사건

주요사건
  • 광주은행, 완벽한 내부시스템에도 횡령사건 발생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돈을 만지는 곳에서는 돈의 횡령사건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하는데 근간에도 지방은행에서 횡령사건이 지역뉴스 거리가 되고 있다.광주은행에 따르면 지난 2023년 지역개발 관…

  • 내란 특검, 황 전 총리 전격 체포·영장 청구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12일 내란특검에 따르면 내란 선동 혐의로 황교안 전 국무총리를 자택에서 체포 연행했다.황 전 총리는 지난해 계엄 당시 온라인상에 우원식 국회의장과 한동훈 전 국민의…

  •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건물 철거 중 붕괴, 9명 매몰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6일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울산 남구 용잠로에 소재한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에 서 오후 2시경 발전소 내 기력 5호기 보일러 건물이 철거 작업 중 붕괴됐다.이…

  • 해충잡는 스프레이, 화기 불 옆에서 사용하면 화재 위험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24일 경기 오산경찰서에 따르면 관내 궐동 모 상가주택에 거주하는 A 씨(20대· 여)를 지난 20일 구속해 중실화 및 중과실치사상 혐의로 수원지검에 송치했다.이 …

주요사건

Total 2,295건 156 페이지

주요사건

주요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