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적 사건25시

안병길 의원, 자유민주주의 시리즈 15법 대표발의 완료

페이지 정보

작성자편집국 작성일 22-07-13 17:25

본문


[추적사건25시 김경성 기자]

안병길 의원, 자유민주주의 시리즈 15법 대표발의 완료

- 자유민주주의는 대의제적 정치질서만이 아닌 국민의 기본권과 직결 -

- 법 목적조항에 자유민주주의 명시한 국회법 등 6법 추가 발의 -

dbd4083edf43a468b2c8bba4beccdc53_1657700642_9886.jpg

국민의힘 안병길 의원(부산 서·동구, 국회 농해수위)은 13일(수), 현행법의 목적 규정을 헌법이 지향하는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부합하도록 보완하여 ‘국가공무원법’ 등 9개법 개정안을 발의한데 이어 이번에 ‘국회법’, ‘지방자치법’, ‘정치자금법’, ‘행정기관위원회법’, ‘국가인권위원회법’, ‘지방공무원법’ 이상 6개의 개정안을 더해 총 15개의 자유민주주의법 개정안 제안을 마무리했다.

안 의원은 지난 6월부터 선거 관련 테마를 시작으로 언론·미디어 유관 법률에 이어 공무원·행정기관·행정 절차 등 행정 분야 관련 법률들을 4차례에 나누어 발의하여 자유민주주의법 시리즈를 완결하였다.

대한민국 헌법 전문은 우리 법의 역사와 정통성을 확인하는 길잡이로서 법률 해석의 지침 역할을 하고 있다.

헌법 전문에는 ‘자율과 조화를 바탕으로 한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라는 문장을 포함해 자유가 3차례 나온다.

헌법 제37조에서도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제한하는 경우에도 본질적인 내용은 침해할 수 없다고 명시하고 있지만 많은 법률에서는 민주주의만을 명시하고 있어 법 해석 상의 혼란을 자초하고 있었다.

지난 '18년 교과서 논쟁에서도 알 수 있듯이 민주주의가 자유와 평등을 함께 담아내기에 굳이 자유민주주의라는 표현을 쓸 필요가 없다는 주장도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정치적으로는 민주주의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고 해도 법 체계상으로는 올바르지 않다는 것이 안 의원의 주장이다.

일례로 북한식 인민민주주의는 우리 법 질서 상 어긋나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야 하는 것처럼 법은 합법 여부를 분명히 구분질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안 의원은 법률의 목적 조항에 ‘자유’를 포함시켜 자유가 우리의 질서에 가장 적합한 것임을 명확하게 표현시키고자 한 것이다.

부동산·언론·검수완박 등 위헌적 법률이 마구잡이 등장하면서 지난 5년간 헌법의 기본 골격이었던 자유민주주의가 훼손되는 것이 아니냐는 일각의 우려가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경제 뿐만 아니라 북한 세습 독재에 한마디 못하고 북한 핵 폐기, 주민들의 인권에 대해서는 사실상 손 놓으며 국내에서는 분란만 일어났고 국외에서는 고립무원에 빠지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안 의원은 “우리나라는 건국 이래 자유의 가치를 누리며 살아왔기에 법 상 용어에 대해 그동안 깊게 고민을 해 볼 기회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며, “이번 개정안을 통해 자유가 대한민국에서 더 넓게 숨쉴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길 간절히 바란다”고 말했다.

주요사건

주요사건

국회소식

Total 6,518건 141 페이지

주요사건

주요사건
  • ‘압구정 롤스로이스 도주사건’ 가해자·의사 중형 선고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14일 서울중앙지법 형사26부(재판장 최민혜)에 따르면 일명 ‘압구정 롤스로이스 도주 사고’로 불리는 신 모씨 뺑소니 사건에 대한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도주치…

  • 北, 오물 풍선 260여개 살포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29일 합동참모부에 따르면 북한이 풍선에 오물, 쓰레기 등을 담아 대한민국을 향해 살포한 것으로 발표됐다.며칠 전 북한은 국내 대북 단체들이 대북 전단 살포와 …

  • 北 해커조직 ‘라자루스’ 법원 기록 등 2년간 해킹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12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와 국가정보원, 검찰청에 따르면 북한 해커 조직 라자루스가 우리 법원 재판 기록 등을 해킹했다.북한 해커 조직은 지난 2021년 1…

  • 집단행동 전공의 대다수, 행정·사법 처벌 임박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4일 보건복지부와 경찰청에 따르면 의대증원에 반대해 근무지를 이탈해 거리로 나선 전공의들에게 예고한 강력한 조치로 행정·사법 처벌이 임박했다.지난해 4월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