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적 사건25시

제주특별자치도, 지하수 체계적 관리시스템 구축 본격화

페이지 정보

작성자편집국 작성일 20-09-24 19:15

본문


제주특별자치도, 지하수 체계적 관리시스템 구축 본격화

- 지하수 수질관리기준 설정 및 적용방안 마련 용역 추진 -

55c4366b10632bfb1a2f599738369ac9_1600942479_5862.jpg

제주특별자치도는 내년 1월 15일까지 지하수 수질관리기준 설정 및 적용방안 마련 용역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도는 현재 운영 중인 지하수 수질관리체계의 문제점을 파악해 제주의 수자원 여건을 감안한 단계적 수질관리제도 정비를 위해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용역은 환경분야 국책연구기관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이 수행하고 있다. 제주지역은 생활용수의 99.7%, 농업용수의 96.6%를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지만, 지하수 주 함양지역인 중산간지역의 액비 과다 살포, 타 지역 대비 비료사용량 과다 등으로 일부 지역의 지하수의 경우 질산성질소 악화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도는 지하수가 주 수원인 지역현실을 감안해 △수질목표관리 △수질오염지역 중점 관리 △체계적 오염원 관리 등 선제적 수질관리 제도를 마련하고, 정책과제를 발굴할 방침이다.

이어, 올해 말까지 △국내·외 지하수 수질관리 제도 및 적용 사례를 통한 시사점 △지하수 오염취약지구 및 집중관리지역 △제주형 지하수 수질관리 제도개선(안) 및 정책과제 등을 면밀히 검토할 예정이다.

또한, 농업·축산·하수 등 오염원 관련 부서 등과 연관된 제도개선(안)에 대해 관련 부서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제주도는 이번 과업을 통해 한정된 지하수자원의 보호와 지속이용 가능한 체계적인 수질관리의 틀을 마련하게 된다.

더불어, 그에 따른 목표 설정과 목표 달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체계를 수립해 선순환적인 지하수 관리 제도를 만들어갈 방침이다.

한편, 도는 지하수 수질관리 및 개선을 위해 △가축분뇨·비료·하수 등 부서별 오염원 관리 강화 △수질 모니터링 강화 △수질개선 연구사업 및 시설개선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문경삼 도 환경보전국장은 “지하수 수질관리기준 설정 및 적용방안 마련을 통해 제주의 지하수 수질관리 체계를 정비하고,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추적사건25시 최정진 기자

주요사건

주요사건
  • 야구방망이로 아들을 훈계하다 숨지게 한 친부 구형 10년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22일 인천지법 형사12부(최영각 부장판사)에 따르면 지난 1월 16일 오후 인천 연수구 소재 모 아파트 자택에서 학교 숙제 관련해 아들 A군(11)을 훈계하던 중 …

  • 부산기동대 순경, 사격훈련 중 자신의 총기에 사망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16일 부산경찰청에 따르면 낮 12시 30분께 청 기동대 소속 경찰관이 1년에 2회 실시하는 정기적 사격훈련 도중 A 순경이 총기 오발 추정되는 사고로 머리에 중상을…

  • 비둘기 모이주는 행위, 과태료 100만원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비둘기 떼가 도시의 애물단지가 된 것은 어제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비둘기 무리는 도심의 건물을 더럽히는가 하면 공원 등에 설치된 관광 또는 문화재 조성물 등에도 배…

  • 장제원 전 국민의힘 의원 숨진채 발견돼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1일 서울 강동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2023년 제21대 국회 후반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던 장제원 전 국민의힘 의원이 관내 한 오피스텔에서 숨진 채…

지방자치

Total 3,858건 217 페이지

주요사건

주요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