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적 사건25시

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 전역 54만 구상나무 분포 지리정보화 완료

페이지 정보

작성자편집국 작성일 19-11-29 20:07

본문

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 전역 54만 구상나무 분포 지리정보화 완료

- 세계유산본부, 한라산 구상나무 장기 모니터링‧보존관리의 토대 마련 -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 한라산연구부는 ‘구상나무 보존전략 연구’ 및 ‘제주도 자연자원 GIS 자료구축 사업’(자체연구사업)의 일환으로 한라산 전역의 구상나무 약 54만본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는 지리정보화(이하 GIS)화 작업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fc8e76605aa67f72774a13bb534e1a27_1575025536_8358.JPG
 


연구진은 2017년 4월 촬영된 8cm급 고해상도 항공사진을 입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입체도화장비를 활용하여 한라산 일대의 55.08 ㎢ (9×6.12 km)의 영역에 분포하는 수고 1m 이상의 구상나무를 생목(살아 있는 개체)과 사목(죽은 개체)으로 구분하여 각 개체별 위치를 도면화했다.


분석 결과 3,600㎡ (60×60 m) 단위면적 내에 36개체 이상(생목과 사목의 합)의 구상나무가 분포하는 면적은 11.07㎢였다.


해당 영역 내에는 구상나무 496,775개체(생목 315,145, 사목 180,630)가 분포하여, 평균 누적 고사율은 36.43%, 평균밀도는 4.48개체/100㎡로 파악되었다.


fc8e76605aa67f72774a13bb534e1a27_1575025619_915.jpg
 


GIS화 결과에 의하면, 구상나무의 고사패턴이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한라산 백록담의 북동쪽 부분과 영실의 북서쪽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고사율이 높고, 한라산의 남서쪽과 북쪽 및 북서쪽 부분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고도별로는 한라산 동쪽에서는 고도 1,300~1,500m 구간에서 고사율이 높고, 1,500~1,600m 구간은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1,600~1,900m 구간은 다시 높게 나타났다.


fc8e76605aa67f72774a13bb534e1a27_1575025640_6215.jpg
 


한라산의 서쪽 영실 일대에서는 1,500~1,600m구간이 가장 고사율이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구상나무의 고사율은 구상나무 분포지 외곽부와 한라산 정상부로 갈수록, 그리고 경사가 완만한 곳에서 높게 나타났다. 


세계유산본부 고길림 본부장은 “이번에 구축된 자료는 향후 구상나무 모니터링의 기준이 될 것이며, 구상나무 고사원인 규명 및 보존‧관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더 나아가, 세계유산본부는 구상나무 보전전략을 비롯해 제주 자연자원 조사 연구사업들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제주가 가진 고유 천혜환경자원들을 체계적 관리보전에 더욱 힘써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

주요사건

주요사건
  • 야구방망이로 아들을 훈계하다 숨지게 한 친부 구형 10년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22일 인천지법 형사12부(최영각 부장판사)에 따르면 지난 1월 16일 오후 인천 연수구 소재 모 아파트 자택에서 학교 숙제 관련해 아들 A군(11)을 훈계하던 중 …

  • 부산기동대 순경, 사격훈련 중 자신의 총기에 사망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16일 부산경찰청에 따르면 낮 12시 30분께 청 기동대 소속 경찰관이 1년에 2회 실시하는 정기적 사격훈련 도중 A 순경이 총기 오발 추정되는 사고로 머리에 중상을…

  • 비둘기 모이주는 행위, 과태료 100만원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비둘기 떼가 도시의 애물단지가 된 것은 어제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비둘기 무리는 도심의 건물을 더럽히는가 하면 공원 등에 설치된 관광 또는 문화재 조성물 등에도 배…

  • 장제원 전 국민의힘 의원 숨진채 발견돼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1일 서울 강동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2023년 제21대 국회 후반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던 장제원 전 국민의힘 의원이 관내 한 오피스텔에서 숨진 채…

지방자치

Total 3,858건 295 페이지

주요사건

주요사건